본문 바로가기
  • 풍경소리~~~~~
  • 텃밭,가드닝 이야기~
야생화,약초부록/산나물,들나물,우리약초꽃

[스크랩] 하수오

by 추경 2010. 9. 28.

◇ [약용식물] 하수오 - 정기회복 탁월

하수오(悍국굻), 출장갈때 남편에게 주면 안되는 생약, 정기회복 탁월 문헌 곳곳 나타나 흰머리 검게하고 정수가 보익돼, 경북지방 재배면적 급격히 늘어 박주가리과 다년생 덩굴 초본, 은조롱, 새박뿌리로 불려, 「야교」「야교등」 별명 「출장가는 남편에게 하수오를 주지말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하수오는 정기회복에 탁월하다는게 문헌을 살펴본 결과다.

또한 재미있는 전설도 있는데, 하수오는 암수 다른 식물로 낮에는 따로 떨어져 있다가 밤이 되면 서로 뒤엉키기 때문에 별명을 「야교」, 「야교등 이라고 한다든지, 중국 춘추시대에 「하공」이라는 사람이 하수오 뿌리를 달여먹고 백발이 흑발이 돼어 「何공」의 머리(국)가 까마귀처럼 검게 되었다고 하수오라는 이야기도 있다.

이밖에 하수오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있었는데, 정력부족으로 남성구실을 못하고 고민한 끝에 산중에 들어가서 도를 닦고 있던중 어느날 술에 만취해 자다가 눈을 떠보니 덩굴풀이 마치 남녀가 포옹하듯 서로 「뒤엉켰다, 떨어졌다」 하는 것을 보고 그 덩굴풀의 뿌리를 캐 먹었더니 모든 고민이 해결돼 그풀의 이름을 자기이름으로 부르게 됐다는 것도 전해 내려온다.

따라서 흰머리가 검어지고 또 남성의 고민이 정상적으로 해결됐다는 것은 이 약초의 뿌리가 일시적 강정강장작용이 아니라 근본적인 정력증강 촉진작용을 가진 것이라는게 한의학계 설명이다.

하수오는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 초본으로 암수가 따로 돼 있고, 줄기는 좌선성으로 커 올라가며, 가늘고 길다. 하수오는 강원도에서 은조롱, 황해도에서는 새박뿌리라고 한다. 은조롱은 박새풀 또는 백하수오라고도 한다.

줄기의 껍질은 강인하고 절단하면 백색유액이 나오고 뿌리는 비후하여 살이 많으며, 잎은 끝이 날카롭고 잎맥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고 광택은 없다. 꽃은 연한 황록색이고 7~8월에 피며, 9월에 결실하며, 뿌리를 약용으로 쓴다. 하수오에는 적하수오와 백하수오 두 품종이 있다. 이들은 똑같은 약효를 가지고 있으나 흔히 적하수오를 많이 쓴다.

우리나라에는 「나도하수오」라는 별명을 가진 국산 하수오로 개발된 품종이 있는데 그것이 세종대왕 무렵 당재약품을 물리치고, 국산 생약을 장려하는 정책에 의해 이뤄진 것이라는 역사를 보면 조상들의 의약학이 결코 중국에 뒤떨어지지 않음을 보여준다.

성분으로는 레시친, 옥시메칠안트라퀴논, 지방, 탄닌 등이 함유된 것으로 밝혀졌으며, 레시친은 특히 내분비선을 자극해 젊음을 보존하는 분비물을 생성하므로 레시친의 보급으로 결혼생활의 행복과 젊은 정력을 회복할수 있다.

또한 레시친은 모든 성장발육과 동화작용을 촉진하는 동시에 우리 신체의 가장 중요한 영양소이며, 체내에서 꼭 필요로 하는 필수지방산의 원천이기도 하다. 하수오의 강정강장작용은 레시친의 역할임을 보여준다.

한방에서는 하수오를 단방보약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오래 계속 먹으면 백발이 검어지고 정수가 보익돼 불로한다고 했으며, 복약시는 파, 무, 마늘, 비늘없는 물고기 등을 삼가며, 철제로 된 그릇을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한다.

얼굴빛을 좋게 하고 또 하수오는 나력, 옹종, 다섯가지의 치질을 낫게 하며 여러해된 허로때문에 몸이 여위게 된 경우나, 풍허로 몸이 크게 상한 경우를 치료한다. 이밖에도 몸을 푼뒤에 생긴 여러증상이나 적백대하에 좋다.

하수오를 잘먹으려면 검은콩과 같이 삶거나 찐후에 햇볕에 말려서 쓰면 좋다. 찌거나 삶을때 얻을수 있는 효과는 보하는 작용이 강해진다는 것이다.

- 경남신문 -

출처 : 웰빙 건강약술
글쓴이 : 죽헌 원글보기
메모 :
백하수오.이엽우피소.적하수오 바로알기| 국내자연산 산야초.버섯류
토사모 조회 95 | 2010.07.18. 21:15 http://cafe.daum.net/aaa27/1cS5/98

백하수오와이엽우피소적하수오 비교 많은도움이되시길바랍니다.

구분  백하수오  이엽우피소  적하수오
원산지 한국 중국 중국
학명  Cynanchum wilfordii Hemsley Cynanchum volubile (max.) Hemsley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분류  쌍떡잎식물 용담목 박주가리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쌍떡잎식물 용담목 박주가리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잎이 마주나며, 면이 매끄럽고 잎을 찢으면 흰진액이 나온다

 잎의 면이 우둘투둘 하며 잎을 찢으도 흰진액이 나오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 또는 화살 모양이다  

뿌리  뿌리 껍질을 벗겨도 흰진액이 나오지 않는다

 

 

껍질을 벗기면 흰진액이 나온다

 

뿌리는 고구마 처럼달리며 적갈색 혹은 암갈색이다

뿌리

단면

 

절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할때 유즙관이 없고 중앙유관속이 3~4각으로 팽대한 각을 이루고표피세포층이 10층이상이다

유관으로 보면 단면에 무늬가 있다

 절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유관즙이 있고 중앙유관속이 4~5개로 분리되 흩어져 보이며 표피세포층이 5~7층이다

유관으로 봐도 단면에 무늬가 없다

 중심은 한 개의 큰 고갱이로 되어 있고 주위에 몇 개의 원형에 가까운 이형 섬유관이 있으며 운금(雲錦) 모양의 무늬를 형성한다 

 

효능  

독은 없고 맛은 약간 쓰고 달다

염증을 삭이고 가래와 담을 없앤다.  갖가지 종기, 치질, 만성피로로 몸이 마르는 것, 부인의 산후병, 대하 등을 치료하고 기(氣)와 혈(血)을 도우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골수를 충실하게 하고 머리카락을 까맣게 하고 오래 먹으면 늙지 않는다  용도는 장기의 기능을 돕고, 항진시키므로 중풍을 예방하고, 자양강장제로 이용, 익정혈, 강근골 등의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익정, 금창, 한열, 중풍, 이뇨제 등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독이 있고  맛은 쓰고 떫다

생적하수오는 윤장통변, 해창독. 법제된 적하수오는 보간신, 익정혈에쓰며, 주된 치료는 생적하수오는 나력, 옹창, 변비. 법제된 적하수오는 간신음허, 혈소, 현훈실면(어지러워 정싱이 없을때). 용량은 하루 6~12그램을 사용한다. 줄기는 안신지웅약, 땀을 멈추는 약, 경락을 든든히 하는 약으로서 잠이 오지 않으면서 땀이 많을 때, 몸이 아프고 피가 적을 때 쓴다.  하루 7~9그램을 먹는다